WSL2(Windows Subsystem for Linux 2) 설치

2021. 3. 27. 14:41·IT(개발아님)/Windows
반응형

WSL2(Windows Subsystem for Linux 2) 설치

설치

  • WSL을 먼저 설치하고 커널 패치로 버전을 업그레이드하는 방식이다.

  • 44bits의 글에 설명이 잘 되어있다. 따라서 하면 된다.

    https://www.44bits.io/ko/post/wsl2-install-and-basic-usage

    요약

    • WSL2를 사용하려면 윈도우10 2020년 5월 업데이트를 먼저 진행해야 한다.

    • Microsoft store에서 윈도우 터미널 설치 후, 관리자 모드로 실행하고 다음을 입력한다.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 리부팅

    • 윈도우 터미널에서 wsl을 입력하면 링크가 하나 뜨는데, 접속하여 원하는 리눅스를 설치한다. (나는 우분투)

    • 이름, 패스워드 설정하면 WSL가 설치된다. 다음 명령어로 확인 가능하다.

      wsl -l -v

    WSL2

    • 다음 주소에서 WSL2 커널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한다.

      https://docs.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win10#step-4---download-the-linux-kernel-update-package

    • 다음 명령어로 업그레이드하고 버전 확인

      wsl --set-version Ubuntu 2
      wsl --set-default-version 2
      wsl -l -v
        NAME      STATE           VERSION
      * Ubuntu    Stopped         2

설정

윈도우 터미널 기본 쉘 변경

  • 윈도우 터미널에서 아래 화살표모양을 누르고 Settings, 혹은 CTRL + ,으로 settings.json을 연다.

  • 아래 "list"에서 기본으로 설정할 쉘의 "guid"값을 복사하여 "defaultProfile"의 값으로 붙여넣기하면 된다.

경고음 음소거

  • 가끔 방향키를 누르거나 하면 띠링 소리가 나는데, 음소거하고 싶은 쉘의 설정에 "bellStyle": "none"을 추가하면 된다.

  • 예시

    {
        "guid": "...",
        "hidden": false,
        "name": "Ubuntu",
        "source": "Windows.Terminal.Wsl",
        "bellStyle": "none"
    }
  • 참고 : https://superuser.com/questions/1108120/how-to-disable-bash-on-windows-notification-sound-effect

Oh My Zsh 설치

  • https://github.com/ohmyzsh/ohmyzsh

  • 우분투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 입력

    sudo apt update
    sudo apt upgrade
    sudo apt install zsh -y
    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ohmyzsh/ohmyzsh/master/tools/install.sh)"
  • 테마

    • agnoster 테마로 설정했다.

      • ~/.zshrc의 테마를 ZSH_THEME="agnoster"로 설정 후 source ~/.zshrc
    • 맨 앞의 user@computer 생략

      • ~/.zshrc에서 DEFAULT_USER=user로 입력하고 source ~/.zshrc

VSCode와 WSL 연동

  • Remote - WSL 플러그인 다운로드

  • 좌측 하단의 초록색 코드모양(>< 겹친거) 클릭 후 나오는 Remote-WSL에서 필요한거 클릭

  • 플러그인은 로컬이랑 따로 받아야 하는 듯하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IT(개발아님)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 파일 탐색기 바로가기(Quick Access)에 자꾸 폴더가 추가되는 현상  (0) 2021.04.13
크롬 텍스트를 누르면 해당 위치에서 커서가 깜빡일 때  (0) 2021.03.29
Visual Studio 단축키를 VSCode 단축키로 변경  (0) 2021.03.01
Git Bash 시작 폴더 설정  (0) 2021.02.28
에러 관련  (0) 2021.02.28
'IT(개발아님)/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윈도우10 파일 탐색기 바로가기(Quick Access)에 자꾸 폴더가 추가되는 현상
  • 크롬 텍스트를 누르면 해당 위치에서 커서가 깜빡일 때
  • Visual Studio 단축키를 VSCode 단축키로 변경
  • Git Bash 시작 폴더 설정
Caniro
Caniro
  • Caniro
    Minimalism
    Caniro
  • 전체
    오늘
    어제
    • 전체보기 (318) N
      • SW개발 (268)
        • Java Spring (6)
        • C++ (186)
        • Python (21)
        • Linux (16)
        • 알고리즘 (13)
        • Git (4)
        • Embedded (1)
        • Raspberrypi (9)
        • React (3)
        • Web (2)
        • Windows Device Driver (6)
      • IT(개발아님) (45)
        • Windows (25)
        • MacOS (7)
        • Utility (11)
      • 챗봇 짬통 (0)
      • 일상 (2) N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windows
    Workspace
    그림판
    EXCLUDE
    SFC
    unix
    logi options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 기술
    citrix workspace
    스프링
    mspaint
    Solaris 10
    맥북 카카오톡 알림 안뜸
    윈도우 명령어
    시스템 복구
    vscode
    MacOS
    java
    spring
    KakaoTalk
    로지텍 마우스 제스처
    SunOS 5.1
    윈도우
    백기선
    알림
    Windows 11
    제외
    dism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Caniro
WSL2(Windows Subsystem for Linux 2) 설치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