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즈베리파이에서 리액트 작업 환경 설정
·
Raspberrypi
라즈베리파이에서 리액트 작업 환경 설정 nodejs nodejs는 크롬 V8 js 엔진으로 빌드한 js 런타임이다. 웹 브라우저가 아니어도 js 연산이 가능하다. 설치 시 npm도 같이 설치된다. https://github.com/nodesource/distributions/blob/master/README.md#debinstall에 설치 방법이 나와있다. https://nodejs.org/en/에 접속해보니 LTS 버전이 14.x라서 해당 버전으로 설치하려는데.. pi@raspberrypi:~ $ sudo curl -fsSL https://deb.nodesource.com/setup_14.x | bash - ## Installing the NodeSource Node.js 14.x repo... ## ..
라즈베리파이 USB 마운트 해제
·
Raspberrypi
라즈베리파이 USB 마운트 해제 기본적인 마운트 위치는 /media/pi/ 디렉토리 내부이다. 다음과 같이 umount 명령어로 언마운트 시킬 수 있다. umount /media/pi/USB 위치를 잘 모르면 umount를 치고 탭을 눌러가며 보면 된다.
라즈베리파이 Nginx 설치
·
Raspberrypi
라즈베리파이 Nginx 설치 다음 명령어로 nginx 설치 sudo apt install nginx -y 설치가 완료되면 웹서버가 켜진다. service nginx status active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설정 변경 기본 설정은 /etc/nginx/sites-available/default 파일에 있다. 권한때문에 sudo vi로 편집해야 수정 가능하다. SPA의 경우 index.html만을 가지고있기 때문에 location / 부분을 수정해야 한다. 변경된 설정을 적용하려면 nginx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 sudo service nginx restart 접속 웹 브라우저에서 라즈베리파이의 ip로 접속하면 Welcome to nginx! 페이지가 보인다.
Nginx SPA에서 새로고침 시 404 Not Found 에러 발생
·
Web/Nginx
Nginx SPA에서 새로고침 시 404 Not Found 에러 발생 SPA(Single Page Application) 새로운 페이지를 불러오지 않고, 현재 페이지를 동적으로 다시 작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웹 사이트 내 경우엔 리액트로 빌드한 웹사이트였다. 원인이 리액트 소스코드에 있는 줄 알았는데 Nginx 문제였다. 원인 하위주소에 대한 html 파일을 요청하는데, SPA의 경우 index.html 내부에서 처리하므로 이외의 파일을 찾을 수 없다. 해결 파일을 찾아도 없으면 index.html 파일로 연결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nginx 설정 파일(/etc/nginx/conf.d/default.conf 혹은 /etc/nginx/sites-available/default)에서 try_files를 다음..
라즈베리파이 SSH 설정
·
Raspberrypi
라즈베리파이 SSH 설정 SSH Enable 왼쪽 위의 시작메뉴 - 기본 설정 - Raspberry Pi Configuration Interfaces 탭에서 SSH를 Enable로 설정한 뒤 OK putty로 접속 https://www.putty.org/ 에서 Download PuTTY의 here 항목 클릭 지금은 단순히 ssh로 접속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Alternative binary files 탭의 putty.exe (the SSH and Telnet client itself)만 다운로드했다. 사용하던 ssh key가 없거나 파일 전송이 목적이라면 패키지 파일로 통합 설치를 하는게 편할 듯 하다. putty.exe를 실행하여 ip와 port(처음엔 22번)를 적고 Open을 누르면 첫 연결 시 나오..
Vim
·
Linux
Vim Vim에서 방향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vim으로 편집하는데, 방향키가 제대로 적용이 안된다면 다시 설치해야 한다. sudo apt install vim -y Vim에서 클립보드 사용 Vim으로 편집할 때 클립보드로 복사가 안되는 현상이 있었다. vi --version | grep clip으로 확인하면 -clipboard라고 나온다. vim-gtk를 설치하면 된다. sudo apt install vim-gtk -y
라즈베리파이 VNC 설정
·
Raspberrypi
라즈베리파이 VNC 설정 VNC (Virtual Network Computing) RFB 프로토콜 방식을 이용해 화면 정보를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RFB 프로토콜 (Remote Frame Buffer) 프레임 버퍼 레벨에서 동작한다. OS에 관계없이 모든 OS에서 프레임 단위로 통신한다. SSH보다 느리지만 화면을 보고 싶을 때 유용하다. 라즈베리파이에서 vncserver 실행 라즈비안에 기본적으로 vncserver 프로그램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입력해주면 바로 실행된다. vncserver VNC(R) Server 6.7.2 (r42622) ARMv6 (May 13 2020 19:34:10) Copyright (C) 2002-2020 RealVNC Ltd. RealVNC and VNC ..
Visual Studio 단축키를 VSCode 단축키로 변경
·
Windows
VSCode에 익숙해지니까 VS에 적응이 안된다. mapping scheme 변경 Tools - Options (단축키 : Ctrl + ,(콤마)) 우측 하단을 드래그해서 창 크기를 조절 가능하다. Environment - Keyboard에서 맨 위의 mapping scheme를 Visual Studio Code로 설정 후 OK 추가 변경 VSCode에서는 Shift + Alt + Up/Down으로 한줄을 복제할 수 있었는데, 이 설정은 따라오지 않아서 직접 바꿔줘야 한다. Edit.Duplicate 항목의 단축키를 Shift + Alt + Up, Shift + Alt + Down으로 두 번 할당해준다. Edit.LineUpExtendColumn, Edit.LineDownExtendColumn의 단축키 ..
Git Config
·
Git
Git Config 사용자 이름, 이메일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git commit 에디터 vim으로 설정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vim 설정 조회 git config --list git config --global --list